이 블로그는 애드센스 수익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광고차단앱을 해제해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도움이 됩니다.
Please disable Adblock?
본문 바로가기
취미/블로그 & 부업

내가 찍은 사진으로 돈을 벌수 있다고? -크라우드픽 소개 및 장단점-

by 킨쨩 2019. 12. 1.
반응형

내가 찍은 사진으로 돈을 벌수 있다고? 

-크라우드픽 소개 및 장단점-


오늘은 지난 7월부터 미루던 주제중 하나인 사진으로 돈 버는 법에 대해서 다뤄볼까한다. 구체적으로는 크라우드픽이라는 국내의 스톡사진 사이트에 대해서 이야기하려한다. (그냥 저작권 동의서와 초상권 동의서가 필요한 사람은 아래의 첨부파일을 확인해보기 바란다.)


크라우드픽은 "셔터스톡"처럼 사진을 올린 뒤 판매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있다. 


일반적인 국내외 다른 사이트들은 1번의 다운로드로 250원내외의 수익을 얻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크라우드픽은 베타 기간 한정으로 사진을 구매하는 비용인 500원을 100%작가에게 돌려주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1회성이 아니라, 팔리는 만큼 계속해서 들어오게 되는 것이다. 크라우드픽은 가장 한국스러운 스톡이미지라는 컨셉으로 해외 사이트들에는 부족한 한국의 이미지들을 위주로 사진을 제공하고 있다. 그래서 한국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특히 더 유리하지 않을까 해서 소개해본다.



현재의 크라우드픽 홈 화면. 계절별로 조금씩 바뀐다.



크라우드픽에서 사진을 올리고 수익을 올리는 과정은 매우 간단하다.


1.일단 회원가입을 한다. 


회원가입은 알아서 할 수 있을 테니 구체적인 스크린샷은 생략하도록한다. 회원가입을 한 다음, 가이드의 작가 튜토리얼을 가볍게 읽고 나면 업로드가 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아마 대부분 귀찮아서 안 읽겠지만.)


이것도 간단히 할 수 있으니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는 작가홈 버튼을 누른뒤 나오는 화면에서 사진을 올리거나, 내 사진들이 모여 있는 작가 페이지의 프로필 항목들을 고쳐볼 수 있다. 하지만, 사진을 올리기 전에 알아야 할 사항이 몇 가지 더 있다.


간단하게 프로필과 촬영기종, 내 연락처를 포함한 크라우드픽 작가홈.

크라우드픽 작가홈.



2.작가 가이드와 품질 가이드, 그리고 검색어 가이드를 읽는다.


사실 읽지 않고 바로 올려도 사진을 올리는 것은 금방 가능하지만, 사진을 올려두어도 하고 팔리지 않으면 의미가 없기 때문에 먼저 가이드를 읽는 것을 추천한다.


물론 읽기 귀찮은 사람들을 위해서 간단하게 요약해보도록 하겠다. (20191130기준)


작가가이드의 내용은,

회원가입방법, 판매 수익금에 관한 부분, 업로드시 주의사항, 작가 페이지에 관한 내용들과 이미지 업로드 기본사항,업로드하면 안되는 이미지,초상권과 재산권에 관한 이야기들과 초상권과 재산권에 문제가 있거나, 비 상업적으로 사용할 이미지를 무료로 올리는 법, 그리고 폰트가 포함 될 경우 저작권에 주의해달라는 내용이 적혀있다.


검색어 가이드는,

 간단히 최소 5개의 검색를 잘 구분해서 올리면 되고, 올릴 때 이 이미지의 주제와 연관이 있는지, 구매자가 이 이미지를 잘 검색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잘 생각해달라는 내용과 검색어 작성시 지켜야할 사항에 대해 적혀있다. SNS와는 다르게 객관적이고 정확한, 구체적인 검색어를 요구하기 때문에, ~~여행이라던가 감성사진, 풍경사진 이런 검색어는 최대한 자제해야한다.


마지막으로 품질 가이드에는 어떤 이미지들이 품질이 떨어진다고 판단 되어 거절되는 지 적혀있다.(아주 길고 요약이 불가능한 구체적인 예시들이기에 생략한다.)


3.작가홈의 이미지 업로드를 누른다.


이미지 업로드를 하는 사이트까지 들어갔다면, 드래그앤 드롭이나 클릭해서 추가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추가한다. 별다른 어려움은 없겠지만, 최소 1024픽셀이상인 사진들과 30mb이하의 사진들을 올려주어야한다. 가능한한 고픽셀일 경우에 인쇄나 다른 작업에 유리할 수 있기에 다운로드 기회가 늘어난다고 하니 참고하도록하자. 그외에 작업파일들도 올려줄 수 있는데, 작업파일들은 1000원으로 더 수익이 빵빵하니 참고하도록하자. 사진을 업로드한뒤 다음 버튼을 누르면된다. 최대 20장까지 한 번에 올릴수있다.



작가 홈을 누르면 나오는 화면. 이미지 업로드를 눌러주면된다.



4.사진의 판매 용도와 검색어를 적어 준다.


비슷한 사진끼리는 다중선택 후, 검색어와 상업적 용도 여부, 재산권과 초상권에 관한 사항들을 한번에 적어주면 된다. 하지만, 별로 안 비슷한 사진들을 업로드하는 중이라면, 상업적 용도/비상업적 용도, 재산권과 초상권에 관한 사항들을 하나씩 하나씩 꼼꼼하게 적고, 검색어도 최소 5개 이상씩 딱 맞는 걸 가능한한 많이 적어줘야한다.


사진을 판매하는 과정중 제일 귀찮은 과정이고, 자동화가 안된 과정이지만, 가장 중요한 과정이니 열심히하자. 개인적으로는 크라우드픽도 셔터스톡처럼 올릴 때에는 적절한 태그를 찾기위한 기능 (직접 셔터스톡내의 사진을 검색한 뒤 3개이상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태그를 띄워주고 클릭해서 추가할 수 있는 기능)을 넣어줬으면 좋겠다.


그래도 최근엔 자동으로 어느정도는 추천 검색어를 생성해주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어려운 작업은 아닐 것이다.


아마 나중에 구성은 좀 바뀔 수도 있지만, 내용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재산권과 초상권에 관한 내용을 적지 않으면 제출 할 수 없으니 주의하도록하자.


5.제출 버튼을 눌러준다.


끝이다. 이제 사진은 우리손을 떠났고, 가만히 기다리면된다. 물론 농담이고, 중간중간에 수정을 할 수 있다. 다만 수정을 하면 최대 7일이 소요되는 사진의 심사기간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 그리고 심사가 끝나고 수정 요청이 들어올 수 있는데, 수정요청이 들어오면 요청사항을 잘 읽고 고치면 된다. 참고로 주말과 휴일에는 심사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


6. 내가 올린 사진들과 크라우드픽의 서비스를 홍보한다.

아직 신생서비스이기때문에 알고있는 사람도, 이용하는 사람도 그렇게 많지는 않기 때문에 사진이 잘 팔리지는 않을지도 모른다. 그렇기에 지금의 나처럼 얼른 홍보를 하면 된다.


 나는 7월달에 일단 크라우드픽을 시작했고, 사진을 15장 내외 올려놓고는 방치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고양이 사진이 한장 팔려서 500원의 수입이 들어온 김에 생각이 났다. 그래서 새로 개설한 인스타의 사진계정과 함께 같이 연동하는 느낌으로 사진을 서서히 늘려나갈 생각이다. 기본적으로 촬영 기기를 가리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가 없더라도 예쁜 사진들이 사진첩에서 잠들어 있다면 한번 시작해볼 가치는 충분하다. (겸사겸사 내 사진을 구매해주면 더 좋고.)


마지막으로 내가 생각하는 크라우드픽이라는 서비스의 장점과 단점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단점.


이용자 수가 절대적으로 적다. 해외의 여타 유명사이트들보다 인지도도 낮고, 이용하는 사람도 적고, 구글 검색에서 잘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잘 팔릴 수 있을 지 의심이 많이 든다.


여타 스톡사이트들과 같은 전속 계약이 없고, 경력과 판매율 등에 따라서 지급하는 액수가 상승하지 않는다. 다른 사이트에서는 1달에 몇장 이상 팔리거나, 일정 수익을 올리면 전속 카메라맨처럼 이런 저런 계약을 맺을 수 있다. 그리고 경력과 사진의 퀄리티를 고려해주면서 점점 더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막 크라우드픽이라는 서비스는 단순히 사진 판매를 중개하고 있을 뿐이기에, 프로 사진가라면 별로 이용할 메리트가 없을것이다.


모바일 버젼 사이트가 없고, 반응형 웹 프로그램이 짜여져 있지 않다. 친구들에게 내 작가홈을 소개해주려고 할때에노트북을 준비해서 소개하기 보다는, 카톡이나 핸드폰으로 보여주게 되는 경우가 더 많을 것이다. 그런데 거기서 화면이 데스크탑과 같은 버젼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로딩도 오래걸리고 보기도 심히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핸드폰 사진도 팔수있다는 걸 장점으로 내세우면서. 정작 핸드폰에서 직접 사진을 올리기 불편하다는 건 좀 어불성설이 아닌가 싶다. 빠르게 개선해주었으면 하는 점이다.


자동 태그 기능이 미약하다. 생각보다 많은 사진들에 자동으로 태그를 달지 못하거나 적은 수만 달린다. 차라리 사이트 내 사진 검색 기능과 몇개를 선택하면 공통된 태그를 보여주는 방식등등을 활용하여서, 태그를 더욱 쉽게 달 수 있게 하는 게 아무래도 좋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장점.


사진 검색 알고리즘이 판매량 순이 아니다. 같은 검색어라도 사이트내에서 검색할 경우 계속해서 새로운 결과를 보여주려고 노력한다. 경우에 따라 단점이 될 수도 있지만, 모두에게, 특히 새로운 사람에게 사진의 노출을 어느정도 보장해준다는 점에서는 장점이라고 본다. 찾는 사람도 계속해서 비슷한 검색어를 바꿔나가는 것보다는 간단하게 사진을 찾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인거 같다.


시작과 사진 판매게시가 매우 간단하고 쉽다. 사진에 대한 별도의 설명을 적을 필요조차 없이 검색어만 몇개 넣어주고 끝이다. 그조차 귀찮긴 하지만 매우 간단하고 쉬운편이다. 게다가 여러 조건들도 까다롭지 않고 당연한 조건들이기에, 핸드폰만 있어도 당장 업로드를 시작할 수 있다. 게다가 사진에 대한 심사가 시간은 조금 걸릴지 모르지만, 엄격한 기준으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서 거부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기본 페이가 세다. 전문적으로 사진을 업으로 삼지 않은 일반적인 이용자들은 전속 계약을 맺는다거나 하는 경우는 매우 적을 것이다. 그런 사용자들에게는 다운로드 한 건당 500원의 수입을 보장하는 크라우드픽이 더 유리하다. 타 사이트들에 비해서 대략 1.1배~2배 정도로 높은 수익이다. 내가 이 서비스를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이기도하고. 기본적으로 제출한 사진은 70년 정도 저작권을 보장하는 듯하다.


공모전 응모가 같이 있다. 사진을 올려서 파는 것 말고 공모전에 응모해서 상금을 받거나 저작권을 판매하게 되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될지 안될지는 둘째치고, 사진의 공모전에 응모할 기회를 사이트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응모하기도 쉽고 편하다. 덕분에 사진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체크해볼만한 사이트이다.


한국 사이트이다. 이건 단점이 될수도 있지만, 일단은 한국인들을 대상으로 쓴 글이기에 장점으로 소개한다. 일단 모르는 점에 대해서 찾거나 문의하기 쉽고, 한글화가 당연히 잘되어 있어서 기타 절차들이 알기 쉽다. 번역체도 없고, 가이드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한국 사진들을 찾는 사람들에 한정해서는 다른 사이트들 보다 오히려 더 노출될 기회가 많다고 생각한다. (아직 인지도가 부족하지만.)


 오늘은 크라우드픽을 통해서 내 사진으로 돈 버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전문적으로 사진을 찍지 않더라도,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는 사람이더라도 한번 사진을 올려서 수익을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다음엔 좀 더 전문적으로 사진을 다루는 사람들을 위해서 셔터스톡에 대해서 알아보겠다. 아마 한~참 뒤가 되겠지만.


참고로 이건 20191130일 기준 크라우드픽에서 다운받을 수 있는 동의서이다. 혹시 몰라서 백업용으로 이곳에 올려두었으니 찾기 귀찮은 사람은 다운로드하기 바란다. 


재산권 동의서 (자산 콘텐츠 사용허가서).pdf

초상권 동의서 (모델 콘텐츠 사용허가서).pdf





밑에 공감 버튼 한번 씩 클릭 부탁드립니다!


내용에 관한 질문이나 의견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email: aaaa8757@gmail.com

빠르고 사무적인 답변을 원할 때


Youtube: https://www.youtube.com/channel/UC69apb6b_rHR_QkaGDnVUCQ

아직 제대로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테스트용


Facebook: https://www.facebook.com/커여운-KIN쨩-韓国人留学生-285152282195534/

내가 잘사는 이야기 모음


instagram:https://www.instagram.com/initial_dongsik/

나의 일상적 이야기 모음

instagram:https://www.instagram.com/dongsik_kim_photography/

사진 계정


크라우드픽:https://www.crowdpic.net/@Gehdtlr2547

내 사진을 인터넷에서 합법적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


Copyright 2019.KIN.All rights reserved.

KIN



반응형

댓글